김도현건강톡톡

묵은지 들기름 지짐, 깊고 구수한 감칠맛을 살리는 비법 ㅣ 묵은지와 들기름의 조화! 집에서 쉽게 만드는 묵은지 들기름 지짐

김도현건강 2025. 2. 20. 23:00

시작하며

묵은지는 오랜 시간 숙성되며 깊은 감칠맛을 내는 재료입니다. 특히 들기름과 함께 조리하면 구수한 풍미가 더해져 밥 한 공기를 뚝딱 비울 수 있는 요리가 됩니다. 묵은지 들기름 지짐은 재료가 단순하지만 조리 과정에 따라 맛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제대로 끓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묵은지를 활용한 들기름 지짐을 더욱 깊고 풍부한 맛으로 완성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묵은지 준비하기

묵은지는 시간이 오래될수록 산미가 강해지고 감칠맛이 깊어집니다. 그러나 그대로 사용하면 맛이 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손질이 필요합니다.

묵은지 헹구기

  • 묵은지를 흐르는 물에 씻어 고춧가루를 제거합니다.
  • 물기를 살짝 짜서 과한 수분을 제거합니다.

배추잎과 무 손질

  • 배추잎은 먹기 좋은 크기로 세로로 찢습니다.
  • 묵은지 속에 있는 섞박지 무가 있다면 적당한 크기로 썰어둡니다.

 

2. 묵은지 볶기

묵은지 들기름 지짐의 핵심은 들기름과 묵은지를 함께 볶아 깊은 풍미를 내는 것입니다. 들기름의 고소한 향과 묵은지의 감칠맛이 만나면 더욱 깊고 구수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묵은지 볶는 방법

  • 냄비나 팬에 묵은지를 넣고 들기름을 넉넉하게 부어 중약불에서 볶습니다.
  • 묵은지의 신맛이 강하면 설탕을 약간 추가해 산미를 조절합니다.
  • 감칠맛을 더하기 위해 표고버섯 가루를 넣어 볶아줍니다.
  • 구기자 가루를 넣으면 색감이 더욱 진해지고 은은한 단맛이 추가됩니다.

 

3. 국물 내기

묵은지 들기름 지짐은 국물을 따로 내지 않고 묵은지 자체의 감칠맛을 우려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 다시마를 추가하면 감칠맛이 더욱 깊어집니다.

국물 내는 방법

  • 마른 다시마를 가볍게 씻어 냄비 바닥에 깔아둡니다.
  • 묵은지가 자작하게 잠길 정도로 물을 붓습니다.
  • 쌀뜨물이 있다면 활용하면 더욱 깊은 맛이 납니다.

 

4. 끓이기

끓이는 과정에서 묵은지의 깊은 맛이 우러나오도록 조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끓이는 과정

  • 뚜껑을 덮고 센 불에서 한소끔 팔팔 끓입니다.
  • 30분 정도 끓이면 묵은지가 부드러워지고 깊은 맛이 우러납니다.
  • 끓인 후 불을 끄고 그대로 식힙니다.

 

5. 2차 끓이기

묵은지를 한 번 끓인 후 다시 한 번 끓이면 국물이 더욱 깊어지고 묵은지의 감칠맛이 더 잘 배어납니다.

2차 끓이는 방법

  • 1~2시간 지난 후 다시 불에 올립니다.
  • 뚜껑을 닫고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입니다.
  • 뚜껑을 열고 국물이 약간 남을 때까지 졸입니다.
  • 너무 오래 끓이면 묵은지가 흐물거릴 수 있으므로 적당히 졸인 후 불을 끕니다.

 

마치며

묵은지 들기름 지짐은 단순한 재료만으로도 깊고 구수한 맛을 낼 수 있는 요리입니다. 들기름의 고소한 향과 묵은지의 감칠맛이 조화를 이루어 별다른 양념 없이도 맛이 뛰어납니다. 특히 한 번 끓였다가 식힌 후 다시 끓이면 더욱 깊은 맛이 우러나므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조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집에 묵은지가 있다면 한 번 도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묵은지들기름지짐 #묵은지요리 #김치요리 #사찰음식 #들기름볶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