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현건강톡톡

연근조림 만들기, 부서지지 않고 윤기 나게 완성하는 방법

김도현건강 2025. 6. 10. 12:00

시작하며

연근조림은 어릴 적 엄마가 도시락 반찬으로 자주 싸 주시던 기억이 있어서 지금도 유난히 손이 가는 반찬입니다. 겉은 윤기 있고, 안은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이 제대로 살아 있어야 비로소 '연근조림'이라 부를 수 있지요. 그런데 막상 만들려고 하면 조림이 흐물해지거나, 양념이 제대로 배지 않아서 실패할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런 고민을 덜어줄 수 있도록, 연근조림을 맛있게 만드는 모든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연근조림의 핵심은 ‘식감과 윤기’입니다

연근조림은 보기보다 섬세한 손질이 필요한 반찬입니다. 핵심은 두 가지, 삶는 정도양념 졸이기 시간입니다.

(1) 삶기 단계에서 식감이 결정됩니다

  • 생연근은 직접 손질해야 하고, 적절히 삶지 않으면 질기거나 흐물흐물해집니다.
  • 요즘은 마트에서 미리 삶아진 연근을 팔기 때문에 이걸 활용하면 간편합니다.
  • 이 연근은 이미 적당히 삶아져 있어 부서지지 않고 양념도 잘 배어듭니다.

(2) 볶기와 졸이기에서 윤기가 살아납니다

  • 연근을 식용유에 한번 볶아 코팅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 기름 코팅은 양념 졸이는 동안 연근이 쉽게 부서지지 않게 도와줍니다.
  • 그리고 조림이 완성됐을 때 윤기 있는 비주얼로 마무리됩니다.

📝 이때 챙겨두면 좋은 준비물들

재료 비고
삶은 연근 시판 제품 사용 가능
식용유 볶을 때 사용
간장 기본 조림 간장
물엿 또는 올리고당 윤기와 단맛을 위한 재료
흑설탕 또는 갈색설탕 조림 마지막 단계 사용
참기름 마무리용
통깨 고소한 맛을 더하는 재료

 

2. 조림 양념의 황금비율은 3:2:1

집에서 연근조림을 만들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양념의 비율입니다. 이 비율 하나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간장 : 물엿 : 물 = 3:2:1

(1) 양조간장을 기준으로 3 비율

  • 간장의 양이 많아야 전체 간이 잡힙니다.
  • 국간장이나 진간장이 아닌 양조간장을 기준으로 합니다.

(2) 물엿 또는 올리고당은 2 비율

  • 윤기와 단맛을 담당합니다.
  • 올리고당이 있다면 물엿보다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당도가 더 부드럽고, 조림에 더 잘 배어듭니다.

(3) 물은 1 비율

  • 졸이면서 수분이 날아가야 조림다운 농도가 만들어집니다.
  • 물을 너무 많이 넣으면 흐물해지고 끈적임이 사라집니다.

📝 연근조림 양념비율 계산기 (1컵 기준)

재료 기준량 (ml)
양조간장 3큰술
올리고당 2큰술
1큰술

 

3. 설탕은 맨 마지막에 넣는 이유

연근조림을 만들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가 설탕 넣는 타이밍입니다.

(1) 처음부터 설탕을 넣지 않는 이유

  • 설탕은 조림이 끓는 중간에 카라멜화되면서 끈적임과 윤기를 만들어 줍니다.
  • 너무 일찍 넣으면 끈적임 없이 국물만 흐르고, 양념이 제대로 배지 않게 됩니다.

(2) 갈색 설탕을 쓰는 이유

  • 흑설탕 또는 갈색설탕은 카라멜 색상이 더 짙고 예쁘게 나옵니다.
  • 백설탕을 써도 되지만, 색감이나 풍미가 조금 아쉽습니다.

(3) 설탕은 조림이 거의 끝나갈 무렵 넣는다

  • 마지막에 넣어야 윤기 있는 마무리가 됩니다.
  • 이때 숟가락으로 떴을 때 양념이 따라올 정도의 점도가 생기면 완성입니다.

 

4. 연근조림을 더 맛있게 만드는 작은 팁들

(1) 볶을 때는 나무주걱보다 숟가락이 낫습니다

숟가락은 연근이 부서지지 않고, 양념도 고르게 섞을 수 있습니다.

(2) 기름 볶음 과정은 생략하지 마세요

이 과정을 생략하면 조림 중 연근이 흐물해지거나 색이 고르게 나지 않습니다.

(3) 마지막은 참기름과 통깨로 마무리

  • 조림이 거의 끝났을 때 불을 끄고 참기름 1큰술을 넣습니다.
  • 통깨를 뿌리면 고소한 맛까지 더해져 밥반찬으로 손색없습니다.

📝 연근조림 만들 때 자주 하는 실수들

실수 내용 해결 방법
설탕을 처음부터 넣음 끈적임이 없어짐 → 마지막에 넣기
기름에 볶지 않고 바로 양념 연근 부서짐 → 기름 코팅 먼저 하기
물 많이 넣고 오래 끓임 식감 사라짐 → 정해진 양만 졸이기
백설탕만 사용 색이 연함 → 갈색 설탕이나 흑설탕 사용

 

5. 시간이 없을 땐 ‘삶은 연근’이 정답입니다

예전에는 연근을 직접 사서 껍질 벗기고, 갈변 방지로 식초물에 담갔다가 삶았는데요. 요즘은 시판용 삶은 연근이 아주 잘 나와 있습니다.

(1)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음

  • 일반 마트나 온라인에서도 구매 가능
  • 가격도 부담 없고, 삶는 번거로움이 줄어듭니다

(2) 이미 식감이 잘 잡혀 있음

  • 너무 질기지도 않고, 너무 흐물하지도 않아
  • 바로 양념 넣고 볶기만 하면 끝

(3) 연근조림 처음 도전하는 사람에게 추천

  • 실패 확률이 확 줄어듭니다
  • 조림 맛이 안정적으로 나옵니다

 

마치며

연근조림은 잘 만들면 밥 한 그릇 뚝딱하는 반찬이지만, 몇 가지 포인트를 놓치면 기대했던 맛이 안 나기도 합니다. 오늘 소개한 ‘삶은 연근 활용’, ‘3:2:1 비율’, ‘설탕 넣는 타이밍’만 기억하시면 집에서도 반찬가게 못지않은 조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바쁜 날에는 돈으로 시간을 사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반찬 코너에서 사 먹는 대신, 집에서 따끈한 조림 하나 만들어 보시길 권합니다.